IT/DataBase
[무작정 기록] DataBase 개념
Alo_alex
2025. 3. 26. 18:57
DataBase
데이터베이스(Database)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, 관리, 검색, 수정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집합
즉 데이터를 쌓아 놓은 더미.
- 저장방식의 차이점
저장방식 | 특성 |
컴퓨터 화면 | 휘발성, 컴퓨터를 끄면 그 결과가 사라진다. |
파일 | 영구저장, 동시에 최신의 정보 공유X |
데이터베이스 | 영구저장, 동시에 최신의 정보 공유O ㄴ 자료를 쌓아 놓은 더미 ㄴ 실행결과를 영구적으로 저장(보관)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행결과를 파일에 출력(기록) ----> 이해관계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가 항상 최신의 정보를 공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. 이것을 위해서 "데이터베이스"를 이용한다. |
-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
(DataBase Management System) DBM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
: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저장, 관리, 검색, 수정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
종류 | DB 종류 | 구조 | 특징 |
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(RDMBS, Relational DBMS) |
Oracle, MySql, MsSql, mariaDB |
테이블(행,열)의 구조 | - 대체적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많이 사용. - 기업의 정보구조를 여러개의 테이블로 나타낸다. - 각각의 테이블은 서로 관계가 있도록 만들어진다. - '관계가 있다'라는 말은 두개의 테이블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칼럼(속성)이 있는 것. - 데이터 무결성(Integrity) 및 일관성(Consistency) 보장 - SQL을 사용한 강력한 데이터 관리 가능 -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 - 데이터 백업 및 복구 기능 제공 - 복잡한 조인(Join)연산 시 성능 저하 |
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NoSQL, Not Only SQL) |
mongoDB 등 | 테이블이 아닌 다양한 구조 (문서, 키-값, 그래프등) |
-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확장성(Scalability) 이 뛰어나다. |
- 데이터베이스 명령어의 종류( !각 기능을 이해해야함 )
명령어 종류 | 약어 | 설명 |
데이터 정의어 (Data Definition Language) |
DDL | 테이블이나 개체를 생성, 수정, 삭제하는 명령 |
데이터 제어어 (Data Control Language) |
DCL | 사용자를 생성, 삭제, 권한부여, 권한취소 |
데이터 조작어 (Data Manipulation Language) |
DML | 레코드를 추가 insert 수정 update 삭제 delete 조회 select |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