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/JAVA

[무작정 기록] 데이터 타입

Alo_alex 2025. 3. 7. 20:07

자료형(Data Type)


- 기본자료형(Primitive Type)

  : 변수자신이 값을 갖고있는 자료형, 값 자체를 저장하는 것

 

 

 

저장하기 위한 자료형

 

데이터 타입 크기 저장하는 값 기본값 값의 범위 기타
byte 8bit/ 1byte/
제일작다
정수
(정수는 데이터 타입이 가진 크기마다 가진 값이 다르다)
0 -128 ~ 127  
short 16bit/ 2 byte 0 -32,768 ~ 32,767  
int (*) 32bit/ 4 byte 0 -2,147,483,648
~ 2,147,483,647
 
long 64bit/ 8 byte 0L -9,223,372,036,854,775,808
~ 9,223,372,036,854,775,807
 
float 32bit/ 4 byte 실수
(소수점도 취급)
0.0F 소수점 이하 7자리  
double (*) 64bit/ 8 byte 0.0D 소수점 이하 15자리 double 은 int를 포함 할 수 있는 자료형으로  class로 호출할때, 매개 변수가 double 이고 받는 값이 int 여도 오류없이 처리하고, 결과는 double로 표출된다.
(하지만 매개변수가 int일 경우는 double값을 받으면 오류가 난다.)
char  16bit/ 2 byte 문자를 저장 \u0000 0 ~ 65,535 (유니코드 문자)  
boolean  8bit / 1 byte 논리값을 저장 false ture / false  

(*) 표시는 가장 많이 이용되는 데이터 타입

 

 

 

 


- 참조 자료형(Reference Type)

  : 변수자신이 값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, 값이 있는 메모리를 참조(가리키는)하는 자료형

    즉 객체의 주소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그 주소값을 토대로 메모리를 가리킨다.

 

 

 

참조하기 위한 자료형

 

데이터 타입 설명 기타
문자열 String - 문자열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래스
- 기본 타입이 아니라 객체(클래스) 이므로 참조 타입
- 문자열은 특별한 점으로 new없이 리터럴로 생성되어 사용도 가능하다.
* 리터럴(Literal) : 값 자체를 나타내는 표기법
* 자바에서 리터럴은 변수에 할당된 값 그자체를 나타낸다.
배열 Array - 같은 데이터 타입의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하는 자료 구조
( 자료형이 같은 기억장소의 모임을 말함 )
- 변수가 많이 필요할 때 일일이 변수이름을 정해주지 않고, 대표하는 이름과 크기를 정해서 사용 할 수 있다.
- 배열의 요소를 하나식 끄집어 내어올때 반복문을 이용한다.
(즉 배열은 일괄처리가 가능하다)
클래스 Class - 사용자가 정의한 데이터 타입으로, 여러개의 속성과 메소드를 가질 수 있다. 클래스는 여러개의 인터페이스를 구현 할 수 있다.
인터페이스 Interface - 클래스와 비슷하지만, 구현해야 할 메소드의 목록만 정의한다. ! 인터페이스는
- 추상자체 이기 때문에 메소드를 작성할때 바디가 구체화되면 안된다.
- 상수와 추상메소드 만으로 구성해야 한다.
(상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초기값 설정이 필요하다)

 

 

 

 


 

기본자료형(Primitive Type) 과 참조자료형(Reference Type)의 차이점

 

비교 항목 기본 데이터 타입 참조 데이터 타입
저장 방식 값 자체를 저장 객체의 주소(참조값) 저장
메모리 위치 스택(Stack) 힙(Heap)
크기 고정되어 있음(1~8 byte ) 객체의 크기에 따라 다름
기본 값 0, false, 유니코드 null

 

 

 

+ 번외

! 자료형이 다른것 끼리 연산을 하면 그 결과는 그중에 큰 자료형이 된다.

예)

3 + 2.6 -> int + double = double

5 / 2 = 2  -> int

5 / 2.0 = 2.5 -> double

반응형